A. 모드 문자열
1. 모드 문자열
a. fopen() 함수의 모드 문자열이란?
🌟 파일의 사용 용도를 결정하고, 파일의 데이터를 어떤 방식으로 입출력할지를 결정
b. 사용 용도
- r (read mode) : 읽기 전용 모드
- w (write mode) : 쓰기 전용 모드
- a (append mode) : 추가 모드
c. 입출력 방식
- t (text mode) : 해당 파일의 데이터를 텍스트 파일로 인식하고 입출력
- b (binary mode) : 해당 파일의 데이터를 바이너리 파일로 인식하고 입출력
d. 최종 모드 문자열표
모드 문자열 | 설명 |
r | 파일을 오로지 읽는 것만 가능한 텍스트 모드로 개방 |
w | 파일을 쓰는 것만이 가능한 텍스트 모드로 개방 파일이 없으면 새 파일을 만들고, 파일이 있으면 해당 파일의 모든 데이터를 지우고 개방 |
wx | 파일을 쓰는 것만이 가능한 텍스트 모드로 개방 파일이 없으면 새 파일을 만들고, 파일이 있으면 파일 개방에 실패 |
a | 파일을 쓰는 것만이 가능한 텍스트 모드로 개방함. 파일이 없으면 새 파일을 만들고, 파일이 있으면 해당 파일의 맨 끝에서부터 데이터를 추가 |
rb | 파일을 오로지 읽는 것만 가능한 바이너리 모드로 개방 |
wb | 파일을 쓰는 것만이 가능한 바이너리 모드로 개방 파일이 없으면 새 파일을 만들고, 파일이 있으면 해당 파일의 모든 데이터를 지우고 개방 |
wbx | 파일을 쓰는 것만이 가능한 바이너리 모드로 개방 파일이 없으면 새 파일을 만들고, 파일이 있으면 파일 개방에 실패 |
ab | 파일을 쓰는 것만이 가능한 바이너리 모드로 개방함. 파일이 없으면 새 파일을 만들고, 파일이 있으면 해당 파일의 맨 끝에서부터 데이터를 추가 |
r+ | 파일을 읽고 쓰는 것이 둘 다 가능한 텍스트 모드로 개방 |
w+ | 파일을 읽고 쓰는 것이 둘 다 가능한 텍스트 모드로 개방 파일이 없으면 새 파일을 만들고, 파일이 있으면 해당 파일의 모든 데이터를 지우고 개방 |
w+x | 파일을 읽고 쓰는 것이 둘 다 가능한 텍스트 모드로 개방 파일이 없으면 새 파일을 만들고, 파일이 있으면 파일 개방에 실패 |
a+ | 파일을 읽고 쓰는 것이 둘 다 가능한 텍스트 모드로 개방 파일이 없으면 새 파일을 만들고, 파일이 있으면 해당 파일의 맨 끝에서부터 데이터를 추가 읽기는 전체를 읽을 수 있지만, 쓰기는 파일의 맨 끝에만 추가할 수 있 |
r+b 또는 rb+ | 파일을 읽고 쓰는 것이 둘 다 가능한 바이너리 모드로 개방 |
w+b 또는 wb+ | 파일을 읽고 쓰는 것이 둘 다 가능한 바이너리 모드로 개방 파일이 없으면 새 파일을 만들고, 파일이 있으면 해당 파일의 모든 데이터를 지우고 개방 |
w+bx 또는 wb+x | 파일을 읽고 쓰는 것이 둘 다 가능한 바이너리 모드로 개방 파일이 없으면 새 파일을 만들고, 파일이 있으면 파일 개방에 실패 |
a+b 또는 ab+ | 파일을 읽고 쓰는 것이 둘 다 가능한 바이너리 모드로 개방 파일이 없으면 새 파일을 만들고, 파일이 있으면 해당 파일의 맨 끝에서부터 데이터를 추가 |
'프로그래밍 언어 > 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컴파일] 헤더파일, 분할 컴파일, 조건부 컴파일 (0) | 2023.08.17 |
---|---|
[선행처리] 선행처리기, 매크로 함수, 미리 정의된 매크로 (0) | 2023.08.17 |
[입력과 출력] 콘솔 입출력, 파일 입출력, 파일 입출력 함수 (0) | 2023.08.17 |
[문자와 문자열] 입출력 함수 총정리 2 : 문자열 (0) | 2023.08.17 |
[문자와 문자열] 입출력 함수 총정리 1 : 스트림과 문자 (0) | 2023.08.17 |